당장의 실패 늘 열심히 하고 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무엇 하나 전념 하고 있다면 차라리 조금 더 나을 것 같습니다. 막상 창업을 하니 집중하기도 하지만 집중이 깨지게 되는 일도 많습니다. 오히려 집중을 깨고 3자의 시각으로 나를 봐야 할 때도 많죠. 배우고 몰입하면서도 몰입하지 말아야 하는 아이러니입니다. 빠르고 잦은 변화가 아직 적응이 되지
세일즈 초짜를 위한 세일즈 선배들의 조언 요즘 제휴 영업과 더불어 시간이 날 때는 저보다 세일즈 영역에서 더 많은 경험을 해보신 세일즈 선배님들에게 연락을 드려 커피챗을 하곤 합니다. 처음 커피챗을 할 때는 '조금 더 효과적으로 세일즈를 잘 하는 비결을 그들은 가지고 있는 것 아닐까' 생각하고 연락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반복해서 이야기를 나눠보니 아주 특별한 비결이 있다기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 SaaS 비즈니스는 기업의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거나 불필요한 과정을 제거해주고 그 가치에 대해 값을 받는 비즈니스입니다. 기업 고객들을 만나며 인터뷰할 기회가 많은데요. 아마 크고 작은 기업을 합치면 파운더스를 만들며 최소 200~300번 고객을 만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럴 때마다 조금씩 깨달아 가고 있는 것은 문제 해결의 본질에 관한 것입니다. 무언가를 해결해주고
창업을 한다면 반드시 알고 시작해야 하는 것들 * 내가 매우 오랜 시간동안 좋아하면서 할 수 있을 일인지 * 오랜 시간 해도 끝이 없을 만큼 큰 규모와 많은 문제가 존재하는지 * 나와 함께 하는 사람들이 그 큰 규모 안에서 어떤 분야를 어디까지 가고 싶어 하는지
버티는 이유 최근에 가수 엄정화님이 한 유튜브 방송에 나와 본인이 좋아하는 ‘서핑’ 취미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우리는 왜 버티며 살아갈까?'에 대해 고민하던 차에 엄정화님의 생각에 큰 공감이 가 기록을 하게 되었는데요. 서핑의 핵심은 좋은 파도를 만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좋은 파도가 매번 오는 것은 아니죠. 대충 생각만 해도 못마땅한
사람들은 바보같이 비효율적인 것에 감동합니다. 최근 저희 제품의 고객사 대표님과 식사를 했습니다.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이 늘 그렇듯 입에 모터를 단 듯 쉴 새 없이 떠들었습니다. 그리고 그날 딱 제 머릿속에 남은 한 문장은 대표님께서 해준 이 말입니다. '사람들은 바보 같을 정도로 비효율적인 것에 감동한다.' 해외 스타트업 씬에서 많이 사용하는 표현인 'Do Things
더 나은 직무 인터뷰를 하기 위한 고민 최근 우리 회사에 필요한 개발자는 누구일까에 대해 팀 개발자들과 대화를 나눴습니다. 보통 '개발자가 잘한다'고 이야기하면 말 그대로 개발을 잘하는 것이 먼저 떠오르긴 합니다. 하지만 '개발을 정말 미친 듯이 잘하는 누군가가 우리 회사에 지원한다고 했을 때 우리 회사는 그 사람을 채용할까?'라는 질문에 누구도 선뜻 채용하겠다는
마크 저커버그의 '실행 마인드셋' 유튜브 채널 '비즈카페'에 올라온 마크 저커버그와 샘 알트먼의 대담 영상을 봤습니다. 2017년도에 촬영한 영상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미 몇 년을 앞서보는 듯한 두 거인의 모습에 큰 자극을 받았는데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을 서비스 하는 메타는 창업한 지 20년이 된 그리고 구성원만 해도 5만 명이 넘는 거대한 회사입니다. 이제 스타트업이라고
일의 분류 간혹 일이 정말 많이 몰릴 때가 있습니다. 주니어 단계를 넘어갈 때 개인의 업무 기량이 상승하다 보니 더 많은 일이 주어지는데요. 이때 밀려드는 일을 해결하지 못해 번아웃을 겪어나 업무 퍼포먼스가 급격히 떨어지는 팀원들을 만나곤 합니다. 최근에 저희 팀원들과도 이 주제를 가지고 꽤 여러 명과 오랜 시간 이야기했는데요. 조금 놀랐던 점은 업무를
술 만드는 일 취미가 하나 더 생겼습니다. 술을 마시는 걸로 모자라서 술을 직접 만들기 시작했는데요.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양주인 ’막걸리‘부터 배우고 있는데요. 일반적인 방법을 통해 만드는 햅쌀 막걸리는 1주 정도의 발효 과정을 거칩니다. 변수들을 바꿔가며 1주일 단위의 테스트를 해보는 중입니다. 아직 누군가에게 맛보일 수준은 아니지만, 올해가 50주 정도 남았으니 매주